♦ 목 차 ♦
Ⅰ.序論......................................................................2
1. 연구 목적..............................................................2
2. 연구 범위 및 방법...................................................3
Ⅱ. 新文化運動과 文學革命............................................3
1. 新文化運動의 등장..................................................3
2. 文學革命의 歷史的 意義...........................................4
3. 文學革命의 전개양상...............................................5
Ⅲ. 革命文學論의 등장 배경...........................................7
1. 5.4운동과 北伐의 성공.............................................7
2. 4.12정변과 國民黨의 탄압 .................................. ... 7
3. 러시아 革命의 성공과 중국에의 社會主義 확산...............8
4. 러시아와 일본의 프로문학 도입..................................8
Ⅳ. 革命文學 論爭의 쟁점사항..........................................9
1. 革命文學 論爭의 전개................................................9
2. 創造社. 太陽社의 革命文學 논쟁...................................9
3. 魯迅과 茅盾에 대한 비판............................................11
4. 魯迅의 삶과 文學活動................................................13
Ⅴ. 結 論....................................................................14
Ⅵ. 參考文獻................................................................15
---------------------------------------------------------
Ⅰ. 序 論
1912년 손문과 국민당이 신해혁명을 주도하여 청 왕조가 무너지고 공화제의 시기로 들어서면서 중국인들 사이에서는 개혁의 물결이 널리 확산되었다. 즉 지금까지 유지되어 왔던 낡은 유학적 세계관이 밀려나고 그 자리에 새롭게 서로 충돌하는 다양한 문화요소들이 들어온 것이다.
1915년 프랑스에서 돌아와서 <신청년>을 창간한 진독수는 북경대학 학장으로 취임하자 과학과 민족주의의 이름으로 儒敎와 모든 惡에 대한 공격을 지휘했다. 이 시기에 신학문을 익힌 학자들은 이전의 낡은 유교적 가치와 제도를 비판하면서 중국을 후퇴시킨 모든 것들을 거부하고 중국의 과거에서 새로운 문화의 요소를 찾아내려고 하였다. 이러한 신문화운동에서 공격대상이 된 것은 중국의 문자 체계였다.
미국 유학에서 돌아온 호적이 “학문적 논술과 의사소통을 위한 백화(白話 : 口語體)가 이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이후로 백화문의 사용이 급속하게 확산되었다.
문학혁명은 문언문학 대신 백화문학을 정통적 위치에 끌어올렸을 뿐만 아니라 현대적 특징을 지닌 중국 신문학을 구축하였다.
1918년 魯迅이 <신청년>에 『광인일기』를 발표하면서 소수의 지식인들도 옛 중국의 낡은 폐단들을 제거하고 새로운 중국을 위한 가치를 확립하려는 문화투쟁에 동참하였다. 혁명문학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좌우가 극단적으로 대립하면서 극렬한 논쟁을 벌였으며 이후 좌련(중국좌익작가연맹)을 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1. 연구목적
중국에서 현대문학의 시기구분은 1918년 루쉰의 『광인일기』가 발표된 이후부터 1927년 장개석이 주도한 4.12정변으로 인하여 고조된 혁명적 분위기 속에서 탄생한 혁명문학 논쟁까지의 10년 동안을 말한다.
이 시기는 전통문학과 전통문화가 부정되고 서구문학의 영향으로 백화문을 문학 언어로 하여 서구의 문학사조와 장르에 바탕을 두었다. 중국의 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국민계몽을 목표로 한 문학활동 전반을 가리킨다.
중국 현대문학은 1917년1월에 발표된 호적의 『文學改良芻議』와 같은 해 2월에 발표된 진독수의 『文學革命論』, 1918년에 발표된 루쉰의 『狂人日記』에서 출발했다고 보고 있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작가가 바로 루쉰으로 그는 『狂人日記』를 발표하면서 유명해졌다.
문학혁명의 직접적인 역사적 배경은 5.4운동이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베르사유평화회담 참가국들이 과거 산동에서 독일이 보유했던 조차지를 일본에 넘겨주기로 결정한 사실이 알려졌다.
1919년 5월4일 북경대학 등 학생들의 주도로 천안문에서 대중적인 시위를 벌인 것을 5.4운동이라고 한다.
이 시기 문학은 백화문으로 쓰인 소설과 단편을 통해서 지식인으로 하여금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1927년 4.12쿠데타 이후 북벌의 성공으로 국공합작은 결렬되었다. 이로 인하여 문학계는 충격에 휩싸였고 일부 지식인은 사회주의를 받아들여서 좌익이념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었고 이들은 ‘문학혁명’ 대신 ‘혁명문학’이라는 구호를 내세웠다.
이 시기에 러시아에서는 10월 혁명을 통해 봉건왕조가 무너지고 일본에서 유행하던 프로문학이 유학생을 통하여 중국으로 도입되었다. 귀국한 일본 유학생을 주축으로 혁명문학의 기치를 내건 <創造社>와 러시아 유학생과 공산당에 가입한 문인들을 주축으로 결선된 <太陽社>라는 두 문학사단이 격렬하게 혁명문학 논쟁을 벌였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현대문학 시기에 탄생된 신문화 운동과 문학혁명, 혁명문학론의 등장배경과 <창조사>. <태양사>라는 두 문학사단 사이에서의 혁명문학논쟁, 노신의 삶과 문학사적 업적에 대하여 고찰해 보려고 한다.
2. 연구 범위 및 연구방법
중국의 국민당과 공산당은 국공합작 결렬이라는 정치상황으로 인하여 문학운동과 사상계에도 커다란 영향을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본론 부분을 Ⅱ, Ⅲ, Ⅳ로 나누어 보았다.
Ⅱ장에서는 신문화운동의 등장, 문학혁명의 역사적 의의, 문학혁명의 전개양상을 고찰하려고 한다.
Ⅲ장에서는 革命文學論의 등장 배경으로서 5.4운동과 北伐의 성공, 4.12정변과 共産黨의 탄압, 러시아 혁명의 성공과 중국에의 사회주의 확산, 러시아와 일본의 프로문학에 대해서 고찰하려고 한다.
Ⅳ장에서는 革命文學 논쟁의 쟁점사항으로서 혁명문학 논쟁의 전개, <創造社>와 <太陽社>의 革命文學 논쟁, 魯迅과 茅盾에 대한 비판 , 魯迅의 삶과 업적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논문 자료로는 일반 저서와 석.박사 학위논문을 참고로 하였다.
Ⅱ. 新文化運動과 文學革命
1. 新文化運動의 등장
1915년 상해에서 진보적인 지식인 진독수에 의해서 창간된 <신청년>은 문학혁명의 산실이었다. 진독수는 <신청년>의 취지를 민주주의와 과학의 도입을 목표로 한 신문화운동으로 정의하였다.
<신청년>은 1915년부터 1919년 5.4운동이 발발할 때까지 거의 유일한 진보적 잡지로서 진보적 지식인들의 집산지 역할을 했는데 총체적 변혁운동이 바로 신문화운동이다. 신사상운동과 신문학운동의 두 방향으로 나뉘어 야기되는 5.4신문화운동 전야의 지식인 변혁운동을 소수의 선각자적인 진보적 지식인들에 의해 주도되었다.1)
신사상운동의 구체적인 내용은 중국적 전통에 대한 비판과 서구문화의 유입과 소개였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시된 것은 서구의 근대사상인 과학과 민주주의였다.2) 이는 아편전쟁 이후 줄곧 제기되어온 중체서용론의 보다 진보적이고 급진적인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신문학운동은 <신청년>의 활동 가운데서도 가장 두드러진 활동이었다. <신청년>은 창간 당시부터 서구 문학작품과 이론적인 글들을 소개하는 한편 부분적으로 백화문을 게재하였고, 호적 이후에는 문학혁명의 기지를 내걸게 되었다.
신문화운동에서 가장 먼저 공격대상이 된 것은 중국의 문자 체계였다. 주요한 글자들은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면서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의미를 축적했기 때문에 문언문은 정기적으로 공부하지 않으면 상류계급에 올라설 수가 없었다. 반면에 보통 중국인들이 날마다 장사하면서 쓰는 口語는 박식한 인용구 보다 훨씬 접근하기가 쉬었다.3)
문학혁명의 첫 단계는 일상적인 언어를 문장으로 이용하는 것이었다. 낡은 문어체의 우월성을 거부한 이 혁명에 많은 사람들이 합류했다. 신문화운동의 성과에 대하여 루쉰은 “우리 자신을 보존하는 것이 선결문제다. 다만 그것이 우리 자신을 보존하는 힘을 가지고 있느냐 없느냐를 물어야 할 뿐 그것이 국수이냐 아니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4)
2. 文學革命의 역사적 意義
문학혁명이란 문학의 혁신운동5)을 말하는데 1915년 9월 <신청년>이 창간되면서 본격적으로 막이 오르게 되었다. 이대조 등은 10월 혁명 이후 가장 먼저 마르크스주의를 선택하고 마르크스주의 사상을 소개하는 논문을 발표하여 선진지식인들의 열렬한 반향과 흥미를 불러일으켰다. 낡은 도덕과 문화를 대신하여 새로운 도덕과 문화를 제창하는 사상혁명은 필연적으로 문학에서의 혁명을 초래하였다.6)
5.4 신문화운동의 역사적 의의를 다시 인정한 사람은 모택동이다. 그는 노신을 현대 중국의 성인이라고 불렀고 1942년 「당팔고를 반대함(反對黨八股」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5.4운동 시기에 한 무리의 새로운 인물들이 문언문을 반대하고 백화문을 제창하며, 구 교조주의를 반대하고 과학과 만주를 제창한 것은 옳은 일이었다. 당시의 통치계급은 모두 공자의 도기를 가지고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공자라는 수단을 종교적 원칙인양 사람들로 하여금 억지로 믿게 하고, 글을 쓰는 사람들도 모두 문언문을 사용했다.7)
낡은 팔고와 교조의 추함을 폭로하여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낡은 팔고와 교조를 반대하도록 호소한 것이 바로 5.4운동 시기의 커다란 공식이었다.
5.4문학혁명은 봉건 구문학을 시의적절하게 비판함으로써 그 지위를 흔들어놓았을 뿐만 아니라 혁신적이고 민주주의적인 신문학을 성공적으로 창조하였다.
5.4신문학은 동시에 문학의 언어형식에서도 일대 혁신과 개방을 가져왔다. 때문에 인민대중과 한층 더 가까워져서 중국문학이 대중화의 첫걸음을 힘차게 내딛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8)
3. 文學革命의 전개양상
문학혁명은 문체를 개혁하는 데서 출발했다. 1917년 호적은 자신의 「문학개량추이」에서 제시한 8가지 고쳐야 할 항목 ‘말에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 ‘옛 사람을 모방하지 않는다’, ‘반드시 문법에 맞추어야 한다’, ‘병이 없으면서 신음하는 것은 하지 않는다’, ‘진부한 상투어는 버리도록 한다’. ‘典故를 쓰지 않는다.’ ‘대구를 지으려고 애쓰지 않는다.’ ‘속자. 속어를 피하지 않는다.’9)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의 전체적인 언어표현 전체의 근거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전통적인 사대부 의식까지를 뒤흔든 매우 통렬한 글이었다.
호적은 ‘문체 개혁은 필연적으로 어체 개혁과 관련이 있으며 혹자는 문체 개혁 자체에 이미 어체 개혁이 내포되어 있다고 했다.
주작인도 ‘신소설은 구소설과 구별함에 있어서 사상이 중요하다면 형식도 중요하다. 구소설의 부자연스러운 형식은 틀림없이 신사상을 담지 못할 것이다.’10)
진독수의『문학혁명론』은 호적과 다른 의미에서 백화문학의 토대를 이루었다. 호적의 글이 백화문학이 지양해야 할 구체적인 항목들과 백화문학의 문학내적 원칙들을 제시했다면, 진독수의 글은 백화문학이 부딪치게 될 장벽을 밝히고 백화문학이 가지는 변혁운동과의 연관관계를 규정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11)
호적은 「건설적 문학혁명론」을 비롯한 여러 글에서 서구문학을 앞으로 이루어나갈 백화문학의 모범으로 삼자는 주장과 함께 중국의 백화문학은 아직 창조를 말할 단계가 아니라 문학의 용구를 준비하는 단계에 불과하다는 매우 자조적인 주장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는 문자란 문학의 기초이며 따라서 문학혁명의 제 일보는 바로 문자 문제의 해 결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죽은 문자는 결코 산 문학을 낳지 못한다.’고 생각하며 따라서 산 문자를 이루어 내려면 반드시 백화로써 문학의 工具를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12)
호적, 진독수, 노신, 전현동, 유반농 등은 모두 백화문 논쟁을 통해서 글을 쓰고 <신청년>잡지에서는 전면적으로 백화문을 사용했다.
호적도 「백화문학사」를 써서 “백화문학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백화문학사는 바로 중국 문학사의 중심부분이다.”13)
노신은 “현재의 공기를 마시고 있지만 오히려 썩어빠진 名敎와 생명력을 잃어버린 언어를 강제로 요구하는” 사람을 “현재의 도살자”라고 불렀다. 나중에 “나는 늘 사방팔방에서 일종의 가장 악하고 악한 呪文을 찾아 먼저 백화를 반대하고 방해하는 모든 사람을 저주하고 싶었다.”고 말할 정도였다.14)
이처럼 5.4시기의 백화문학은 바로 그들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나아가는 투쟁 속에서 성장했다.
노신은 자신이 과거에 외국문학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거리낌 없이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1834년경 러시아의 고골리가 이미 「광인일기」를 썼고, 1883년경 니체도 자라 투스트라의 입을 빌려 “그대들이 벌레로부터 인간에게 이르는 길을 밟아왔지만 , 그대들의 많은 내면세계는 여전히 벌레로 남아있다. 그대들 중 많은 사람들이 벌레이다. 나중에 나온 「광인일기」는 가족제도와 예교의 폐해를 폭로하는 데 뜻을 두고 있어 고골리의 울분 보다는 훨씬 깊지만 니체의 초인 식의 아득함에는 미치지 못한다.15)
주작인은 「인간의 문학」과 「평민문학」 등의 글에서 개인본위의 인도주의 정신으로써 전통을 혁신시키려는 새로운 문학의식을 천명하였다.
Ⅲ. 革命文學論의 등장 배경
1. 5.4운동과 北伐의 성공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영국과 동맹관계에 있던 일본이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고 독일이 점령하고 있던 청나라와 산동의 권익을 탈취하였다. 1915년에는 산동에서 독일의 정치, 경제, 군사적 권리를 계승한다는 ‘21개조’ 요구를 제출했는데 대총통인 원세개가 일본의 압력에 굴복하여 비밀리에 ‘21개조’ 요구를 기초로 베이징에서 비밀리에 남만주와 내몽골, 산동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였다. 그러나 1916년 원세개가 죽고 단기서가 군벌을 장악하자 일본은 단기서정권을 지원함으로써 중국에서 일본세력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일본으로부터 거액의 치관을 제공받은 단기서는 일본과 ‘중일공동방적협정(1918.5월)’을 맺었는데 이것은 중국내에서 일본군의 자유로운 행동과 군사기지 설정 및 일본군에 대한 중국군의 예속을 초래하는 것이었다.16)
세계대전이 끝나고 중국도 전승국의 자격으로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하였다. 중국은 일본의 강압에 의해 체결된 ‘21개조’가 무효라고 주장하고 패전국 독일이 산동성에서 가지고 있던 권익을 회수하겠다고 했지만 일본은 중국이 이미 ‘중일공동방적군사협정’을 체결했다는 이유로 반대하였다.
파리대표단의 소식이 중국 여론에 알려지면서 1919년 5월4일에 학생 대표들이 천안문광장에 모여 “산동성 ‘21개조’의 회수와 매국적 행위를 처벌하라.”는 구호를 내세워 시위를 하였고 곧바로 전국으로 확산되었다.17)
이 날이 5월4일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5.4운동으로 불린다.
2. 4.12정변과 국민당의 탄압
5.4운동이 일어난 지 몇 년 후 1920년대 후반 정치상황은 장개석이 반대세력을 위해 강력한 탄압정책을 시행하면서 혼란스러워졌다.
혁명문학이 무산계급혁명문학으로 중국문단에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1927년 4.12사건이 발생하여 국내 정치정세가 급변하고 문단이 혼란과 침체기에 빠져있던 1927년 말부터이고, 1928년 초 <창조사> 3기와<‘태양사>가 혁명문학의 기치를 달고 나오면서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4.12사건이란 장개석의 북벌이 진행되는 동안 상해에서는 3차례의 무장투쟁이 전개되었다. 공산당과 총노동조합은 주도면밀하게 계획을 세워서 1927년 4월12일 세 번째 무장투쟁을 감행함으로써 상해의 지배권을 쟁취하였다. 장개석은 상해에 무혈 입성하여 좌파노동조합을 탄압하고 동시에 무장규찰대원들을 체포하고 살해하는 쿠데타를 단행한 것을 말한다.18)
4.12쿠데타 이후 계급투쟁이 격화되었고 당시 혁명을 이끌어나갈 책임을 지고 있던 프롤레타리아는 강력한 복수심과 숭고한 계급적 사명감으로 프롤레타리아 혁명문학운동을 창도해 갔다.19)
노신은 일찍이 ‘문학혁명’에서 ‘혁명문학’에 이르는 현대문학의 변천궤적을 이렇게 기술했다.
처음에 문학혁명의 요구는 인간해방이라는 소박한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또한 그로 인해 보수적인 사람들의 압박과 모함을 받았었다. ...10 여년 후, 계급의식에 눈뜨기 시작하면서 진보적 작가들은 혁명문학가가 되었다.20)
3. 러시아 革命의 성공과 중국에서의 社會主義 확산
러시아는 뽀트르대제 이후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을 따르지 못하고 국민들의 개혁적 욕구가 증대되어 감에도 불구하고 자유주의와 혁명운동을 철저하게 탄압하였고 러일전쟁의 전세가 불리해지자 국민들의 원성을 가중시켰다.
1917년 3월8일 페테르스부르크에서 노동자들이 짜리즘 타도와 전쟁 반대 등의 구호를 내걸고 파업과 폭동을 일으켰다. 의회는 니콜라이2세를 몰아내고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하지만 임시정부는 개혁을 통해 전쟁을 계속하려고 했다가 레닌에 의해 밀려났다. 레닌은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의장이 되어 볼셰비키 일당독재체제를 성립시켰다.
볼셰비키는 러시아 공산당으로 개칭하고 수도를 모스크바로 옮기고, 러시아 사회주의 소비에트연합공화국을 설립하고 헌법을 제정하였다.21)
이로써 러시아혁명은 많은 국가들에게 민족해방과 사회주의 모델로서 작용하였다.
4. 러시아와 일본의 프로문학 도입
<창조사>와 <태양사>는 각각 소련과 일본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 이론을 옮겨다가 혁명문학이론을 주장했다.
1917년 7월 창립된 공산당은 초기 당원들의 활동과 국공합작으로 인한 국민당의 조직력에 힘입어 급속하게 세력을 확장하였다. 국제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의 이론은 ‘결정론파’와 ‘자동론파’로 나뉘는데 <창조사>와 <태양사>는 주로 ‘자동론파’의 영향을 받았다. ‘자동론파’는 주로 소련의 ‘프롤레트 쿨트’ 및 ‘라프’ 였고 그 중에서도 보그다노프의 ‘생활조직문학론’의 영향이 컸다.
‘생활조직문학론’이란 러시아 10월혁명 전후의 ‘프롤레트 쿨트’에서 기인한 것인데 문학이 사회생활의 심미적 방영이라는 기본 법칙을 반대하고, 복잡한 창작과정을 경험이나 관념을 조직하고 도해하는 과정으로 취급하였다. 그것은 문학창작의 형상사유의 특징을 전적으로 말살하고 문학을 과학이나 정치와 동일시하였다.
그의 논점은 후에 와서 소련의 국제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 중의 속류 사회학의 원천이 되었다.22)
일본의 경우 1925년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의 공동전선 단체인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연맹’이 결성된다. 이후 아나키스트와의 논쟁, 福本主義이 오류를 거치면서 다시 통일전선의 문제가 대두되어 1928년 ‘전일본무산자예술연맹(NAFE)'이 결성되었다.23)
Ⅳ. 革命文學 論爭의 쟁점사항
1. 革命文學 論爭의 전개
일반적으로 문예사조는 사회사조와 관련이 있다. 이에 대해서 노신은 “어떠한 문학이라도 모두 환경에 의하여 생겨난다. 문예를 추종하는 자들은 문예에는 풍운을 일으킬 만한 힘이 있다고 하지만 사실은 정치가 선행하고 그 다음에 문예가 변한다,”고 했다.24)
1921년 이후부터는 노동자혁명운동이 중국 공산당의 지도 아래 견제되기 시작했고 문예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1923년에서 1924년 사이에 추사, 등중하, 윤대영, 소초녀, 심택인 등이 잇달아 글을 발표하여 혁명문학을 고취했다. 이들의 글은 “새로운 시인들이 마땅히 혁명의 실제 활동에 종사할 것을 요구했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25)
문예창작은 시간저적인 여유와 정서적 여유가 있어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혁명활동에 바쁜 사람이 창작하기란 불가능하다.
노신도 “대혁명의 시대가 되면 문학은 사라지고, 소리를 내지 않게 된다. 그것은 누구나 혁명의 흐름에 휩쓸려 외침에서 행동으로 바뀌고, 다들 혁명에 바빠서 한가롭게 문학을 이야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혁명이 성공하면 사회의 상태가 다시 완화되기 때문에 사람들의 여유가 생겨난다. 그렇게 되면 다시 문학이 탄생하게 된다.”26)라고 하였다.
2. 創造社. 太陽社의 革命文學 논쟁
혁명문학을 창출하게 된 직접적인 배경은 1947년 장개석의 4.12 반공산당 쿠데타로 1924년 건립된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연합전선은 무너지고 혁명형세는 급격한 변화를 일으켰다.
장개석 당국은 공산당원을 제거하는 동시에 국민당을 순수하게 하는 ‘청당(淸黨)운동’을 벌였다.27)
중국의 프로문학운동은 단체의 성립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후기 <창조사>와 <태양사>를 비롯한 진보적 혁명문학 단체들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중국의 프로문학운동은 거세게 일어났다. <창조사>는 前期에서는 순수문예를 지향했지만 <창조사>구성원들은 일본에서 유학한 사람들로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에 심취해 있었지만 거의가 문학을 한 적이 없었다. 그들은 노신을 비롯한 5.4시기 기성 작가들을 부정하고, 신문학시기 문학유산을 비판하면서 자신들이 프로문학의 선두주자라고 표방하고 나섰다.
<태양사>는 1928년 1월에 「태양월간」을 간행하였다.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중국 혁명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있었고 문학이 프롤레타리아 해방운동의 일익을 담당해야 한다는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창조사>와 <태양사>는 중국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이라고 확신하고 있었지만 두 문학사단은 서로 성격이 달랐다.
<창조사>의 이초리는 “혁명문학이란 아무나 할 수 없고 누구나 끌어들일 수 없다고 하면서 종파주의적 태도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반해 <태양사>의 장광자는 ”모든 사회계급을 소멸시키고 오직 무산계급만의 사회를 만들고 무산계급만의 문학을 만들어야 한다고 집체주의적 태도를 취한 것이다.28)
중국 프로문학 초기에는 사회적 기초가 없었고 충분한 준비와 빈틈없는 계획도 없었다. 프로문학 논쟁에서 언급된 문제들은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난다.
<태양사>의 장광자는 이 시기 프로문학 이론의 가장 중요한 전파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혁명과 시인의 관계에 대해 혁명이란 “그대가 그것을 환영할 때면 그대는 꼭 창작의 활력을 얻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그대는 그것에 의해 무덤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지금의 시대에 있어서 무엇이 혁명 보다 더 활발한 것이며 광채로운 것이 있을 수 잇는가? 무엇이 혁명 보다 더 흥미롭고 로맨틱할 수 있는가?”29)
장광자는 창작에서의 혁명의 역할을 반복적으로 강조했다. 그에게 있어서 혁명은 일종의 힘이었으며 이러한 힘은 문학작품을 창작할 수도 있고, 문학에 생명력을 부여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창조사>의 이초리는 「怎樣地建設革命文學」이라는 글에서 “문학가는 응당 동시에 한 혁명가여야 한다.‘고 했고, 미국작가 싱클레어의 ’일체의 예술은 모두 선전이다.‘라는 말을 빌어 ”일체의 문학은 모두 선전이다. 보편적으로 뿐만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선전이다. 어떤 때는 무의식적으로 그러나 보통 고의적으로 선전이다.“라고 쓰고 있다.30)
이 시기 일본 ‘후쿠모토(福本)이즘’의 영향을 받은 <창조사> 구성원들은 밝은 미래를 갈망하고 있었다. 성방오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중국 혁명의 실체를 떠나 문학의 작용을 과대하게 평가하고 직접 정치적 선동을 외쳤다. 그들은 “문예가 혁명의 도구이고 계급투쟁의 무기”라고 하면서 문학의 사회적 공리성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따라서 ‘혁명문학은 누구의 주장도 아니고 누구의 독단은 더구나 아니다. 그러므로 혁명문학의 작용은 무산계급의 역사적 사명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명은 반드시 계급의식에 의해 생겨난 투쟁문학을 빌어서 실현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귀결된다. 31)
3. 魯迅과 茅盾에 대한 비판
<창조사>와 <태양사> 두 단체는 혁명문학논쟁을 격렬하게 벌였지만 결국에는 더욱 강화된 동맹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하지만 공격의 창끝은 언제나 문학혁명운동의 주역인 노신에게 향했고 노신은 전혀 흔들림 없이 반격을 해서 또 다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논쟁의 시작은 <문화비판> 창간호에서 풍내초는 「藝術余社會生活」에서 중국의 5.4문학을 부정하고 나섰다. 그는 5.4시기의 중요한 작가들인 葉聖陶, 노신, 욱달부, 곽말약, 장자평 등 작가들을 비판했는데 특히 노신은 주요 공격의 타겟이 되었다.
풍내초는 비평가들이 노신 작품의 기교를 높이 평가하는 데 대해서는 아무런 이의를 달지 않았지만 노신이 늘 과거를 그리워할 뿐 아니라 “반동적인 봉건적 정서를 가지고 과거를 추억하므로 늘 어둡고 지난 어린 옛날을 그리고 몰락한 정서를 추억한다.”고 했다.32)
이초리는 노신을 향해 ‘구경 어느 계급의 사람이고, 그의 작품은 어느 계급의 문학이며, 노신이 표현한 것은 어느 계급의 시대’인가라고 묻는다.33)
풍내초와 이초리는 일본 유학에서 갓 돌아왔기 때문에 중국의 프롤레타리아 혁명문학을 비평하는 데 있어서 인식이 부족했다.
이들의 공격에 대해 노신은 「醉眼中的朦朧」이라는 글을 써서 “사실 몽롱함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혁명적인 국가는 문예상 몽롱함을 면하기 어렵다.”라고 대응했다.
곽말약은 「文藝前線上的封建余孼」이라는 글을 통해 “노신선생의 시대성과 계급성을 이로써 완전히 결정되었다. 그는 자본주의 이전의 하나의 봉건적 서자이다. 노신은 이중적 반혁명 인물이다.”라고 노신이 어려서 지주의 아들이었다는 것을 빗대어 계급적 성분을 덮어씌운 것이다.34)
또 전형촌은 “노신은 술과 담배만 할 줄 알고 날카로운 붓으로 살인하는 소흥 나으리”라고 인신공격을 했으며 「死去了的阿Q時代」라는 제목의 글에서는 “십 년대의 중국 농민은 이제 그대의 농촌 민중처럼 유치하지 않다. 그러므로 아Q는 5.4시대에 놓을 수 없고, 5.30 시대에도 놓을 수 없다. 현재의 대혁명 시대에는 더욱이 놓을 수 없다. 현재의 중국 농민은 아Q시대처럼 유치하지 않다. ....아Q의 시대는 벌써 죽어버렸다! 우리는 해골에 대한 미련을 가질 필요가 없다. 우리는 아Q의 形骸와 정신을 함께 묻어버리자!35)
그들은 노신과의 논쟁에 이어 모순과도 논쟁을 벌였다.
모순은 당시 “새로운 작품에 대해 고개를 내젓는 많은 사람들이야말로 혁명문예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들이며, 그들도 처음에는 새로운 작품에 대해 열렬한 기대를 품고 있었지만 결국에는 그들이 고개를 내젓게 된 것은 새로운 작품이 ‘표어. 구호. 문학’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스스로 폭로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36)
< 창조사>와 <태양사>의 간행물에는 모두 모순을 비판하고 표어, 구호, 문학을 연호하는 글이 발표되었다.
극흥은 『창조월간』에 “모순군의「고령에서 동경까지」를 평함”이라는 부제를 단 글을 발표하면서 모순이 계급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있다고 규정하고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첨예하게 대립되는 위치에 있는 글“이라면서 자신과 다른 뜻을 가진 사람은 모두 혁명문학에 반대하는 사람으로 몰아버렸다.37)
모순은 신문학운동 초기에는 ‘인생을 위한 문학’을 주장하면서 5.4문학의 사상적 계몽의지를 구축하였으며, 1920년대 중반에는 마르크스주의 사조와 결합한다.
1927~1928년에는 중편소설을 발표했는데 「幻滅」, 「童謠」, 「追求」를 묶어 ‘蝕3부작’이라고 이름 붙였다.
모순은 이 작품에서 소자산 계급에 관한 내용을 쓰고 동시에 소자산 계급을 묘사대상으로 삼을 것을 주장하고 있다. 모순은 “진정 용기 있는 자는 과감하게 현실을 응시하고 추악한 현실 속에서 장래의 필연을 체득하는 것이라고 여겼다.38)
모순의 이러한 생각은 혁명문학가의 찬성을 얻을 수 없었고 많은 반대의견을 불러 일으켰다.
<태양사>와 <창조사> 문인들과 노신, 모순과의 논쟁이 격렬해지자 중국 공산당은 노신의 제자인 풍설봉을 시켜 화해를 유도하기도 하고 직접 화해를 시도했다.
공산당 선전부장 이부춘과 이입삼은 <태양사>가 일으킨 논쟁에 대해서 “그들이 논쟁을 일으킨 것은 맞지 않다. 특히 노신에 대해서는 응당 노신을 존경하고 노신과 단결해야 한다.”고 말했고 노신은 이에 동의하고 지나간 일을 잊겠다고 했다. 39)
Ⅴ. 魯迅의 삶과 文學活動
노신은 1881년 절강성 紹興에서 출생했다. 본명은 周樹人으로 노신이라는 필명은 1918년 <신청년>이 창간되고 소설 『광인일기』를 쓰면서부터 사용하였다.
루쉰은 유복한 환경과 할아버지가 한림원에서 책을 편집하고 수정하는 일을 맡으면서 북경에서 벼슬을 하셨고, 아버지는 일찍이 수재로 급제까지 한 사람이다. 어머니는 독학으로 글을 읽혔고, 할머니가 들려주시는 옛날이야기를 듣고 유모인 키다리어멈으로부터 예의범절을 배우면서 평탄하게 성장했다.
노신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늘 책과 함께 생활하면서 정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노신이 13살 때 할아버지가 과거시험장 사건으로 투옥되고, 아버지가 병환이 겹치면서 가세가 기울기 시작했다. 16살 때는 아버지의 사망으로 노신은 외삼촌댁으로 옮겨 살게 된다.
노신은 광무철도학당에서 철도기술자가 되기 위해 공부하면서 신문열람실에서 「時務報」를 통해서 많은 사건들을 접하게 된다. 또 서양의 정치. 경제. 문화를 소개한번역서를 읽고, 자연과학에도 흥미를 가지고 『천연론』을 읽고, 지질학의 중국어 번역본을 베꼈다.
노신은 광무철도학당을 졸업하고 1904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센다이 의학전문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한다. 그러나 환등기를 통해서 한 중국인이 러시아의첩자라는 죄목으로 일본군에게 붙잡혀서 처형당하는 것을 중국인들이 무력하게 바라보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는다.
노신은 중국인들의 병든 몸을 치료하는 것 보다 ‘우매한 정신을 개조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하고 센다이의학전문학교를 자퇴하고 도꾜로 가서 혁명문학활동에 종사하기 시작한다. 당시 중국 국내에서 혁명문학활동을 벌인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었다. 청나라 정부의 전제독재하에 민중들은 아무런 권리도 없었으며 언론과 출판의 자유도 없었다. 그리하여 당시 도꾜는 그들의 정치활동과 문학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40)
노신은 이때의 심정을 「외침. 자서」에서 다음과 같이 피력하고 있다.
“그때부터 나는 의학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어리석고 나약한 국민이란 비록 체격이 제아무리 건장하고 오래 산다 해도 기껏해야 무위미한 처형의 재료나 그 구경꾼이 될 뿐이다. 따라서 우리들이 가장 먼저 손을 대야 할 일은 그들의 정신을 개조하는 데 있다. 그리고 나로서는 정신의 개조에는 문예운동을 제창할 것을 결심했다.”41)
노신이 취한 혁명수단은 민중들을 각성시키는 문학예술활동이었다. 노신은 혁명적 문학예술활동에 참가한 그 날부터 가장 단오하고 가장 철저한 혁명 민주주의파의 대오에 서게 되었다. 노신은 혁명문학활동에 종사하면서 진보적인 혁명문학에 관심을 갖고 일어와 독일어로 된 출판물들 중에서 번역 할 수 있는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에드가 스노우는 “노신 작품의 커다란 매력은 그의 풍격에 있다.”42)고 했고, 모순은 「모순론」에서“이것이야말로 훌륭한 글이다. 무례한 박탈과 침묵의 방관, 노신을 노신답게 만드는 것은 바로 이 두 마디의 말에 있다.”43)고 말하고 있다.
Ⅴ. 結 論
지금까지 중국의 현대문학시기에 발생한 ‘문학혁명’의 전개양상과 ‘혁명문학론’의 등장 배경과 쟁점사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중국에서 현대문학의 시기 구분은 1917년 진독수의 「문학혁명론」, 호적의 「문학개량추이」, 노신의 소설 「광인일기」에서 출발했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이시기는 서구문화의 유입으로 전통문화가 부정되고 새로운 구어체인 백화문을 언어로 하여 문학작품이 쓰여졌다.
문학혁명의 직접적인 배경은 5.4운동이다. 5.4운동은 중국 최초로 성공한 시민운동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문학혁명은 이 시기에 발맞추어 시작된 새로운 개혁운동이었다.
1927년 4.12정변은 장개석 국민당이 공산당을 습격하여 공격을 가한 쿠데타이다. 이로 인하여 문예계에서는 일부 지식인들이 사회주의를 받아들여서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문학혁명’ 대신 ‘혁명문학’이라는 구호로 바뀌었다.
국민당의 공산당 소탕작전으로 문인들은 지하로 잠적하고 일본 유학생들이 귀국하여 <태양사>와 <창조사>를 주축으로 혁명문학운동을 계속하였다.
1917년에 발생한 러시아의 10월 혁명은 당시 사회주의에 대해서 전혀 모르던 중국인들한테는 평범한 계층의 사람들이 절대 왕조를 무너뜨린 사실이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중국에서 혁명문학운동은 후기 <창조사>와 <태양사>를 비롯한 진보적인 문학단체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두 문학사단은 서로 성격이 달라서 격렬한 혁명논쟁을 벌였다. 성방오를 비롯한 일본 ‘후쿠모토이즘’의 영향을 받은 유학생들로 구성된 <창조사>는 “문예가 혁명의 도구이고 계급투쟁의 무기”라고 하면서 문학의 사회적 공리성을 주장하였다.
<창조사>동인들은 문학에 대한 연구과정에서 혁명문학에 심취하게 된 것이고, <태양사>의 구성원들은 대부분이 공산당원으로 사회주의운동에 참여하면서 혁명활동의 일환으로 혁명문학을 제기한 것이다.
<태양사>는 <창조사>의 혁명문학론은 비판하면서 ,혁명문학론이 개인의 신념적 소산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면서 상반된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서로의 입장 차이를 보였지만 기성문인에 대한 문학계의 비판에서는 창조사와 태양사의 입장이 같았는데 특히 노신에 대한 인신공격이 강했다.
혁명문학론은 당시 진보세력과 개혁세력 사이에 사회주의 이념과 사회주의 문학을 확산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Ⅵ. 參考文獻
<서적>
[1] 주덕발. 풍광렴 지음 김태만 옮김, 『중국현대문학사해설』, 열음 사, 1993
[2]이경일. 이정희. 남철호 공저, 세계문화사, 『도서출판창문각』, 1999
[3]이평. 윤영근. 정수국 역, 『새천년의 중국현대문학』, 한국문화사, 2000
[4]오중걸 저 정수국. 천형경 역 『중국현대문예사조사』, 신아사, 2001
[5]존 킹 베어뱅크. 멀 골드만 지음, 김형종. 신성곤 옮김, 『신중국사』, 까치, 2005 수정증보판
[6]신성곤. 윤혜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도서출판 서해문집, 2004
[7]신승하, 『중국사』, 대한교과서, 1998
<논문>
[1] 김영구, 「신청년의 白話文學運動」, 『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 제1집, 1991
[2]이광재, 「1920-30년대 한국과 중국 프로문학운동 비교연구」, 『충북대 대학원』, 2000
[3]박혜경, 「혁명문학론 연구」, 『경희대교육대학원』, 1999
'방송대학교 학사학위 論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학과 졸업논문 (0) | 2013.12.23 |
---|---|
2002년도 법학과 졸업논문 (0) | 2005.07.10 |
[한국방송대학교 ]國文學士 學位論文 (0) | 200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