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썸네일형 리스트형 모국어 지키기 ♥ 母國語 지키기 ♥ 모국어(母國語)는 자기가 태어난 나라의 말이다. 標準語는 ‘한 나라의 표준이 되는 말로써 각국의 수도(首都)에서 사용하고 있는 말을 기초(基礎)로 하고 있다. 오늘은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반포한지 567돌 되는 한글날이다. 한글날은 공휴일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19.. 더보기 다문화민족 ♥ 多文化民族 ♥ 우리나라는 單一民族이라는 타이틀에서 벗어날 때가 되었다. 이제는 다문화민족이라고 불려져야 한다. 우리 주위를 돌아보면 출근길이나 근무지에서 우리와 생김새가 다른 사람들과 자주 부딪치면서 살고 있다. 나도 처음 그들을 볼 때는 이질감을 느꼈는데 자주 대하다 보니 어느.. 더보기 외국인 신부들과 코시안 ♠ 외국인 신부(新婦)들과 ‘코시안’ ♠ 한국 사람과 외국사람이 결혼을 하게 되면 국제결혼이라 부르고 그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는 혼혈아(混血兒)가 된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혼혈아가 생긴 것은 1950년 한국동란이 발발한 다음 미군이 주둔하면서 생겨났다. 당시 혼혈아들은 생모(生母)가 대부분.. 더보기 국적의 취득과 포기 ♣ 국적(國籍)의 취득과 포기 ♣ 해외에서 태어난 한국 남성이 병역의무를 마치기 전에는 국적을 포기하지 못하도록 한 ‘국적법개정안’이 지난 5월4일 국회를 통과한 후 서울의 출입국관리소 내 ‘국적업무출장소‘를 비롯한 전국 소재의 '출입국사무소'와 '재외공관'에서 국적을 포기하려는 신청.. 더보기 이전 1 다음